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2025년 행정안전부는 전국 89개 지역을 인구소멸지역으로 지정했습니다. 지정된 지역은 특별 재정 지원, 주거·창업 인센티브, 민생회복지원금 우선 배정 등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    2025 인구소멸지역 선정 지역 및 주요 혜택 정리

    1. 인구소멸지역이란?

     

    ‘인구소멸지역’은 통계청 인구지표 기준으로 출생보다 사망이 많고, 청년 인구가 지속 감소하는 지역을 말합니다. 행정안전부는 매년 이 기준에 따라 시·군·구 단위로 해당 지역을 선정합니다.

    2025년 기준, 총 89곳이 인구소멸위기 지역으로 지정되어 정책적 지원을 받습니다.

     

    2. 인구소멸지역 지정 기준

     

    • 지속가능지수가 기준치(0.5) 이하인 시·군·구
    • 15~39세 여성 인구 대비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월등히 많은 지역
    • 지속적인 유출 인구 발생 및 출산율 저하가 복합된 곳

    ※ 행안부와 한국고용정보원 통계자료 기반 선정

     

    3. 2025년 인구소멸지역 지정 현황

     

    권역 지정 지역 예시 비고
    강원도 삼척, 정선, 태백 등 전통산업 쇠퇴, 청년 유출
    경상북도 문경, 의성, 청송, 봉화 등 소멸지수 최하위권 포함
    전라남도 고흥, 장흥, 해남, 진도 등 지속적 고령화
    충청북도 단양, 보은, 영동 등 중부 내륙권 중심
    경상남도 합천, 함양, 산청 등 도농 복합 쇠퇴지역
    전라북도 임실, 순창, 장수 등 귀농지역 중심
    제주도 서귀포 일부, 비지정 2025년 일부 재검토 예정

     

    → 전체 목록은 행정안전부 공고에서 확인 가능

     

    4. 지정 시 받을 수 있는 혜택

     

    2025년부터 인구소멸지역으로 지정되면 아래와 같은 특별재정 지원 및 인구정책 가산점이 부여됩니다:

     

    • ✅ 지방소멸대응기금 우선 배정
    • ✅ 민생회복지원금, 지역화폐 예산 우선 분배
    • ✅ 창업·귀농귀촌 정착금, 청년 일자리 보조금 우선 대상
    • ✅ LH·SH 등 공공주택 공급 우선
    • ✅ 청년 월세 지원·주거비 경감 정책 추가 지원

     

    5. 민생회복지원금과의 연계

     

    2025년 민생회복지원금은 인구소멸지역을 포함한 일부 지역에 **예산 우선 배정**이 진행됩니다. 이는 인구 유입 촉진 및 지역 경제 회복을 위한 **직접 현금지원+가맹점 확대**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.

    청년 가구, 소상공인, 1인가구 중심으로 대상자 확대가 이뤄지고 있어, 해당 지역 주민이라면 반드시 확인이 필요합니다.

     

    6. 지역별 혜택 예시

     

    지역 주요 지원 혜택
    경북 의성 청년 정착지원금 월 30만 원(최대 2년), 귀농 창업자금 우선 배정
    강원 삼척 지역화폐 민생지원금 + 폐광지역 특별고용 지원 연계
    전남 고흥 고령친화형 공공임대주택 + 청년주택 공공매입 연계
    전북 임실 소상공인 임대료 보조, 지역축제 연계 청년인턴제 운영

     

    7. 함께 보면 좋은 글

     

     

    8. 마무리: 지방 소멸을 막기 위한 대응

    정부는 2025년 인구소멸지역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고 있습니다. 단순한 인구 정책을 넘어, **주거·일자리·생활 기반을 통합 지원**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.

    현재 거주 중인 지역이 해당된다면, **지자체 홈페이지 또는 복지로**를 통해 지원금 신청 여부와 내용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
    지방 정착을 고민 중인 분들에겐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. 인구소멸지역의 혜택을 미리 확인하고, 전략적으로 활용해보세요.

    반응형